2025.09.22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산업/부동산


현대자동차그룹, 첨단 전자제어 기술로 한 차원 높은 안전운전 지원

단 안전 보조 기술 적용으로 안전운전 지원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현대자동차그룹이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계적 신뢰성에 더해, 운전자의 일반적이지 않은 가속 상황에 능동 대처하는 첨단 안전 보조 기술 적용으로 안전운전 지원을 강화한다.

 

현대차그룹은 최근 페달 오조작 사고 예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고도화된 전자제어 기술 기반의 첨단 안전 보조 사양을 도입해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의 안전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이중 안전 체계를 구축했다.

브레이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순간 브레이크액의 유압(압력)이 브레이크 캘리퍼로 전달돼 차량을 제동시키는 단순하면서도 신뢰성 높은 기계적 원리로 작동한다.

 


현대차그룹은 이러한 브레이크 시스템의 정확한 작동 원리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영상을 공개해 운전자들이 브레이크의 특성과 사용법을 확실히 이해하고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브레이크 시스템은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힘이 진공 부스터를 통해 증폭된 후 마스터 실린더를 거쳐 유압으로 전환된다.

 

이 유압이 브레이크 튜브를 따라 각 바퀴의 캘리퍼로 이동해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 로터에 밀착시키면서 차량을 감속하거나 정지시킨다.

최근에는 전기차를 중심으로 전통적인 진공 부스터 대신 통합형 전동 부스터(IEB)를 적용하고 있으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전기 모터가 그 힘을 실제 제동에 필요한 유압으로 증폭시킨다.

이때 브레이크 제어기는 운전자의 페달 조작을 감지해 통합형 전동 부스터의 모터를 정교하게 제어함으로써 일관된 브레이크 응답성과 조작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컴포트, 스포츠 등 다양한 제동 모드 선택도 지원한다.

부스터 종류와 무관하게 브레이크 시스템은 차량의 구동계와 독립적으로 설계돼 있다.

 

브레이크 페달과 각 바퀴의 캘리퍼는 기계적으로 연결돼 있어 부스터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브레이크 페달을 평소보다 강하게 밟으면 충분한 제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동력은 구동력보다 압도적으로 강해 운전자가 주행 중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을 동시에 밟더라도 제동거리는 평소보다 늘어날 수 있지만 차량을 멈출 수 있다.

여기에 현대차그룹은 가속 및 브레이크 페달이 동시에 조작될 경우 브레이크 신호를 우선하는 ‘브레이크 오버라이드(Brake Override)’ 기능을 더해 제동 안전성을 더욱 향상시켰다.

현대차그룹은 이처럼 신뢰성 높은 제동 시스템에 더해 운전자의 의도치 않은 페달 오조작 상황까지 대응하는 첨단 안전 보조 기술을 새롭게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 적용한 기술로는 준중형 전용 전기차 ‘더 기아 EV5’에 전 트림 기본 탑재된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와 ‘가속 제한 보조’가 대표적이다.

이 두 기능은 차량의 다양한 센서와 전자제어 장치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 및 일반적인 주행 패턴과 다른 상황을 실시간 감지하고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는 정차 상태에서 전·후방 장애물이 있을 때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브레이크 페달로 오인해 급조작하는 경우 곧바로 토크를 제한하거나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 위험을 최소화한다.

이 기능은 초음파 센서가 1.5m 이내 장애물을 인식하고, 차량 통합 제어기(VPC)가 가속 페달 입력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일반적이지 않은 페달 조작을 감지하면 클러스터 팝업과 경고음으로 운전자에게 위험을 알힌다.

 

동시에 토크 제한 또는 제동 제어를 수행해 주차장이나 정차 및 출발이 반복되는 정체 구간 등에서 사고 위험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가속 제한 보조는 80km/h 미만으로 주행 중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오랫동안 깊게 밟을 경우, 차량 통합 제어기가 가속 페달 입력값을 ‘0’으로 처리해 토크를 제한함으로써 일반적이지 않은 가속을 제한하는 기능이다.

특히 가속 제한이 작동하는 중 전방에서 충돌이 예상되면 ‘전방 충돌 방지 보조’ 등 주행 안전 보조 기능과 즉각 연동해 더욱 적극적으로 위험 상황에 대응한다.

현대차그룹은 도로 유형과 제한 속도 등 주행 환경에 따라 가속 제한 보조의 작동 유예 시간을 세분화했으며, 클러스터 팝업 및 경고음을 통한 1차 경고, 음성 경고 메시지가 추가된 2차 경고 등 단계적인 운전자 알림 체계를 마련해 운전자가 위험 상황을 신속히 인지하고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차그룹은 "이런 첨단 안전 보조 기술을 전기차뿐 아니라 하이브리드 및 내연기관 차량으로도 점차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이라며 "지난 7월 자동차안전연구원(KATRI)이 자동차 업계가 활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페달 오조작 방지 기술 관련 특허 등 다양한 정보 활용과 함께 관련 기관 및 부처와의 협업을 통해 기술의 고도화도 이어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그룹은 "페달 오조작 안전 보조와 가속 제한 보조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기계적 신뢰성에 더해 운전자의 일반적이지 않은 가속 상황까지 능동적으로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는 첨단 안전 보조 장치"라며 "지속적인 기술 혁신을 통해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주행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프로필 사진

강판밸리

더보기


Migration New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