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강판밸리


영진약품, KL1333 등 이미다졸 유도체 약물의 적응증 확장 및 만성질환 계열 복합신약 개발

바스젠바이오와 공동연구개발 계약 체결, ‘DEEPCT’ 솔루션 활용
유전체 코호트 데이터 기반 약물효과 및 부작용 시뮬레이션을 통한 신약 개발 추진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영진약품(대표이사·이기수)이 글로벌 임상 2/3상에 진입한 KL1333을 포함하는 이미다졸 유도체 약물의 적응증 확장 및 만성질환 계열 복합신약 개발에 나선다.

 

이를 위해 영진약품은 최근 바스젠바이오(대표·김호, 장일태)와 공동 연구개발 계약을 체결했다고 22일 밝혔다.

 

KL1333은 영진약품이 지난 2017년 스웨덴 Abliva 사에 기술이전한 미토콘드리아 이상 질환 치료 약물로 2017년, 2018년에는 유럽 EMA와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으며, 지난해 9월 미국 FDA로부터 패스트트랙으로 지정 받아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영진약품은 이번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바스젠바이오의 ‘DEEPCT(딥러닝 기반 임상시험 약효 및 부작용 시뮬레이션)’ 기술을 활용하여 KL1333을 포함하는 이미다졸 유도체의 NAD+ 조절 작용을 통한 미토콘드리아 기능장애 개선 외에 신규 적응증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만성질환 계열 복합신약 개발을 추진한다.

 

‘DEEPCT’는 임상 유전체 코호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약물효과 및 부작용을 시뮬레이션 하는 기술로, 약물 개발 단계별 다양한 분석 결과를 제공한다. 

 

특히 약 20년간 추적 관찰된 156,000명의 혈액, 임상 데이터 ‘K-Biobank’와 77만명 이상의 다인종 데이터를 활용해 약물효과 및 부작용을 시뮬레이션 하므로, 실제 임상시험 결과를 미리 예측하는데 매우 중요한 지표를 제공한다.

 

바스젠바이오의 ‘DEEPCT’ 솔루션이 적용된 통풍치료제 신규 적응증 도출 연구 논문은 올해 1월 ‘Nature’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에 게재했다. 특히, 국내 및 글로벌 제약사와의 다양한 약물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검증 절차를 모두 마쳤다.

 

영진약품 이기수 대표이사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KL1333을 포함하는 이미다졸 유도체의 적응증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고, 바스젠바이오와의 다양한 후속 연구개발을 통해 영진약품의 신약개발 경쟁력을 제고할 것” 이라고 전했다.

프로필 사진

강판밸리

더보기


Migration New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