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노믹스 최대억 중국전문기자 | 한국, 미국과 함께 중국발 여행객에 대한 검역을 강화했던 일본이 최근 주중 일본대사관을 통해 대(對)중국 비자업무 정상화 메시지를 별도 공개했지만 오히려 중국내 여론의 반발은 확산되는 모양새다. 25일 본지 중국지사 등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주중 일본대사관은 지난 20일 홈페이지에 '비자에 관한 소식'이라는 제하로 "주중 일본대사관은 코로나19 여파로 한동안 비자 업무를 축소해야 했다"며 "이후 코로나19 변화에 따라 일찌감치(이미) 정상화된 상태"라고 공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은 공교롭게도(?)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이유로 해외여행을 엄격히 통제했던 중국 문화관광부 종합청이 내달 6일부터 자국민 단체 여행객이 방문할 수 있는 20개국에 대해 항공권·호텔패키지 등을 포함, 여행 패키지 상품 판매를 운영한다고 발표한 날이다. 사실상 이날 중국이 각 여행사의 상품 출시 준비 및 홍보 활동을 허용한 나라는 한국과 일본을 뺀 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라오스, 캄보디아, 스리랑카, 몰디브, UAE, 뉴질랜드, 피지, 러시아, 스위스, 헝가리, 이집트, 케냐,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르헨티나, 쿠바 등이다.
뉴스노믹스 최대억 중국전문기자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중국 최대 명절인 춘제(春節·설)를 앞두고 후진타오, 주룽지, 리루이환 등 전직 고위관료 원로들에게 일일이 전화 등 명절인사를 시작으로 자신의 권력에 강화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 최대의 인터넷 검색포털 사이트인 바이두(baidu.com)는 전날(19일)과 오늘, 이틀에 걸쳐 시 주석의 이같은 행보 뉴스를 실시간 검색 1위에 이어 20일 오전 8시(중국 현지시각)를 전후해서는 맨 상위 고정에 배치했다. 바이두가 인용한 이 매체 소식에 따르면 시 주석은 옛 동지인 후진타오, 주룽지, 리루이환, 우방궈, 원자바오, 자칭린, 장더장, 위정성, 쑹핑, 리란칭, 쩡칭훙, 우관정, 리창춘, 뤄간, 허궈창, 류윈산, 장가오리, 톈지윈, 츠하오하오톈, 왕러취안, 왕자오궈, 후이량위, 류치, 우이, 차오강촨 등에게 진심 어린 명절 인사를 전하며, 그들에게 새해 복많이 받고 무병장수를 기원했다고 전했다.(胡锦涛、朱镕基、李瑞环、吴邦国、温家宝、贾庆林、张德江、俞正声、宋平、李岚清、曾庆红、吴官正、李长春、罗干、贺国强、刘云山、张高丽、田纪云、迟浩田、王乐泉、王兆国、回良玉、刘淇、吴仪、曹刚川、曾培炎、王刚、刘延东、李源潮、马凯、李建国、范
뉴스노믹스 최대억 중국전문기자 | 테헤란타임스 등 이란 뿐 아니라 각국 외신들이 윤석열 대통령의 ‘아랍에미리트(UAE)의 적은 이란’ 발언을 보도한 가운데 중국 현지 매체들도 전날 오전부터 늦은 밤까지 기사를 쏟아냈다. 인민일보와 글로벌 타임즈(环球时报)가 공동으로 투자 설립한 인터넷 국제 뉴스 사이트 환구넷(环球网) 등 중앙 언론은 물론, 저장신문(浙江新闻)과 항저우넷(杭州网) 등 지방 언론에서도 한국 언론의 기사를 인용해 이번 일을 상세히 보도했다. 중국의 국가통신사인 신화사(新华社)는 특별기고(新华社微特稿)를 통해서도 기사를 냈다. 20일 오전(현지시각)에 확인된 이들 매체의 기사제목에는 '이란, 한국대사 초치‥.UAE 적 발언 항의' '윤석열, UAE 적은 이란...외교부, 대통령 '실언' 위해 긴급 진화' 등을 중국에서는 대부분 한국 언론사의 기사내용을 그대로 인용, 번역하는 양상을 보였다. 저장성의 항저우넷(杭州网)의 경우에는 '윤석열 한마디로 외교파문(尹锡悦一句话引发外交风波)' 제하의 기사에서 나자피 이란 외교부 법률·국제기구 담당 차관이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해 '두어관시엔스(多管闲事)'로 표현하며 담화가 "역내 평화와 안정을 해쳤다"고 밝혔다고
뉴스노믹스 최대억 중국전문기자 | 김건희 여사가 군복을 입고 지난 15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현지 파병 부대를 방문한 모습을 비난하는 국내 야권 정치인의 말을 인용해 갈등을 부추기는 형태의 기사들을 쏟아낸 한국 언론 기사에 대해 중국 매체들도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전날 중국 관영 매체들은 "김건희 여사 군복에 野 '대통령 노릇...김정숙 여사도 입었는데'" 등 제하의 국내 언론사들의 기사를 앞다퉈 보도(韩国第一夫人穿军装被批抢总统风头)하면서 세계에서 가장 큰 중국어 검색 엔진인 바이두(百度)에서 김건희 여사가 18일(한국 시각 오전 8시) 실시간 검색 순위 6위를 차지했다. 중국 언론 매체들는 한국 언론사의 기사를 인용, 김 여사가 군복을 입고 현지 파병부대를 찾아 야권에서 "대통령 노릇을 한다"는 비판이 제기됐고, 과거 문재인 전 대통령의 배우자 김정숙 여사 역시 해당 부대 방문 시 동일하게 군복을 입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매체들은 "김 여사의 현장 사진이 공개되자 야당에서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며, 박지원 전 국가정보원장은 지난 16일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김건희는 대한민국 퍼스트레이디로서 행사를 잘 다녀야 하는데 퍼스트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중국이 각국의 중국발 입국자 방역 강화 조치에 대한 첫 보복 조치로 한국과 일본 국민에 대한 중국행 비자 발급을 상당 부분 중단한 가운데, 중국 강국(强國)망의 소셜미디어 매체인 잔하오(占豪)는 전날(10일) 한국에 대해 '가면 재수없는 나라다"에 이어 오늘(11일)은 '한국이라는 나라는, 그 건국이 괴뢰 정권으로부터 시작됐다'는 등 한중갈등을 자극적으로 부추기는 언론보도 형태를 보이면서 국제사회에서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잔하오(占豪)는 지난 10일 "(중국 국민인에게)한국에 가지 말라고 강조했다. 한국은 중국에 우호적이지 않고, 가면 재수 없을 것이다(韩国不要去,这个国家对中国不友好, 去了可能倒霉! 现在, 果然倒霉了,不知道 这些被隔离的人这个时候是不是想起了国家的好)"면서, "이후 한국뿐만 아니라 감히 중국에 대해 과도한 행동을 옮기는 나라들에 대해서도 중국은 똑같은 형태로 더 강경하게 대응할 것이다(接下来,恐怕不止韩国,那些胆敢对中国搞过分的国家,中国都会有对等甚至更强硬的手段应对)"며 으름장을 놓았다. 또 11일 잔하오는 "한국이라는 나라는, 그 건국이 괴뢰 정권으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정치적 지능은 오랫동안 다소 결핍돼 있다(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중국 이민관리국은 11일 한국과 일본 국민을 대상으로 비자 발급을 중단한 데 이어 ‘경유 비자면제’도 중단한다는 내용을 홈페이지에서 공지했다. 중국 이민관리국 홈피에 게재된 문구에는 중국은 '최근 소수 국가가 중국이 국민에 대한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를 시행함에 따라 국가이민관리기구는 이날부터 한국, 일본 국민에 대해 중국 도착 비자 발급을 잠정 중지하고 72~144시간 동안 중국에서 일정 장소에 비자 없이 머물 수 있는 통과 면제 발급을 중단한다(国家移民管理局:暂停签发韩国、日本公民来华口岸签证及72/144小时过境免签)'고 명시했다.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香港特別行政區政府)는 중국발 여객기에 이어 전날(10일)부터 홍콩·마카오발 여객기도 한국에 입국할 때는 인천국제공항만 이용할 수 있는 우리 정부의 입국제한 조치에 대해 "이는 부당하다"며 성명을 냈다.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대변인은 전날 밤(현지시각 19시24분) "홍콩발 여객기가 10일부터 다음 달 말까지 인천국제공항에 착륙할 수밖에 없는, 홍콩을 겨냥한 이같은 항공편 제한은 부당하다고 판단한다(特区政府知悉,由即日起至下月底,来自香港的载客航班只能降落仁川国际机场。特区政府认为有关限制针对香港出发的航班,并不合理)"면서 "이에 즉시 한국 당국에 이의 철회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고 주홍콩 한국총영사관에 연락해 강력한 유감을 표하며 관련 규제 철회를 엄중히 요구했다(随即去信韩国当局,并联系韩国驻香港总领事馆表达强烈关注,严正要求当局取消有关限制)"고 밝혔다. 우리 정부의 이번 조치로 설 연휴를 맞아 홍콩-부산, 홍콩-제주 직항을 운행하려던 홍콩익스프레스 등이 직격탄을 맞게 되면서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 대변인은 이날 "홍콩특별행정구 정부 운송물류국이 현지 항공사에 영향을 받는 승객들에게 가능한 빠른 항공편 최신 일정을 설명하고 적절
뉴스노믹스 최대억 중국전문기자 | 중국이 한국인에 대한 중국행 단기비자 발급 전면 중단을 일방적으로 통보한 반면, 일본에 대해서는 "중국의 입장을 분명히 밝힌 만큼 재외공관의 발표를 지켜보면 된다(既然已经明确表明了中国的立场,那么关注驻外公馆的发表就可以了)"며 우회적으로 뜸을 들이는 양상을 보여 국제적 이목이 쏠린다. 10일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외교부 정례 브리핑에서 일본 후지TV 기자들이 중국 비자 발급 중단 사실여부를 묻는 질의에 "중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코로나)에 대한 '을류(乙類)·을류(乙類)' 총체적 방안과 중외 인사 왕래에 대한 임시 조치를 발표하자 여러 나라가 환영의 뜻을 밝혔다(中方发布新冠病毒感染“乙类乙管”总体方案和中外人员往来暂行措施之后,多国表态予以欢迎)"면서, 그러나 "다만 일부 국가가 과학적 사실과 자국의 전염병 상황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차별적인 입국 제한 조치를 고수하고 있어 유감(但令人遗憾的是,少数国家罔顾科学事实和本国疫情实际,仍执意针对中国采取歧视性入境限制措施,对此中方坚决反对,并采取对等措施)"이라고 말했다. 이어 "해당 국가는 사실에 입각해 과학적이고 적절한 방역조치를 마련해야 하며, 기회를 이용해 정치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주한 중국대사관은 10일 한국 국민의 중국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한다는 내용의 통지문을 전격 발표했다. 주한 중국대사관은 이날 "국내 지시에 따라 주한 중국 공관 및 영사관은 오늘(10일)부터 한국 국민의 중국 방문, 비즈니스, 관광, 의료, 통과 및 일반 개인 사무에 대한 단기 비자 발급을 중단한다(根据国内指示,自即日起,中国驻韩国使领馆暂停签发韩国公民赴华访问、商务、旅游、就医、过境以及一般私人事务类短期签证)"며 "이 같은 조치는 한국의 대중국 차별적 입국 제한 조치의 취소 상황에 따라 조정된다(上述措施将视韩国对华歧视性入境限制措施取消情况再作调整)"고 밝혔다. 앞서 중국발 입국자에 대한 한국의 방역 강화 조치와 관련, 친강 중국 신임 외교부장(장관)은 전날(9일) 박진 외교부 장관과의 통화에서 "한국이 최근 중국발 입국자에 대해 임시 제한 조치를 취한 데 대해 우려를 표하고 한국이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태도를 갖길 희망했다"고 했고, 중국 외교부는 이러한 통화결과 자료를 홈페이지에 올렸다. 이에 대해 박진 장관은 한국 측 조치가 과학적 근거에 따라 취해졌다는 점을 친 부장에 설명했다고 한국 외교부는 전했다. [번역=최대억]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중국이 최근 고강도 방역 정책인 ‘제로 코로나’ 정책을 폐지하면서 일부 해외 언론에서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돌연변이를 일으킬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고 일제히 보도한 가운데, 쉬원보(許文波) 중국질병통제예방센터 바이러스병예방통제소 소장은 5일 "바이러스 변이는 역동적"이라며 "인간의 의지에 따라 전이되지 않는다(病毒变异是动态的,不以人的意志为转移,新冠病毒只要在人群中流行,它的基因组就会发生变异)"고 밝혔다. 쉬원보 소장은 이날 중국 국영방송사(CCTV)의 '뉴스1+1' 코너에 출연, "(바이러스 변이의 경우의 수에서)하나는 인체 복제 과정에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델타, 알파 및 기타 변이체와 유사한 변이주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一种是通过在人体复制过程中发生基因突变,可能产生一个变异株,类似德尔塔、阿尔法等变异株)"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다른 하나는 유전자 재조합, 즉 한 개체가 동시에 두 개의 균주를 감염시키고 세포가 복제될 때 유전자 재조합이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 XBB(그리폰 변종, 오미크론 하위 변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다른 하위 분지의 두 바이러스를 통해 한 사람을 동시에 감염시키고 같은 사람의 세포에서 유전자 교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31일 오후 7시(한국시간 8시) 중앙방송총국과 인터넷을 통해 2023년 신년사를 발표한다(国家主席习近平将于31日晚7时通过中央广播电视总台和互联网, 发表二〇二三年新年贺词). 시 주석은 2013년 12월 31일부터 10년 연속 신년사를 발표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이 10개월 넘게 길어지는 가운데 전날(현지시간 30일) 시 주석에게 군사적 협력도 당부하고 내년 봄 모스크바로 초대한 시점에 시 주석이 오늘 새해 계획에 대해 어떠한 형태의 청사진과 메시지를 제시할 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지난해 시 주석은 두 개의 100년(중국공산당 창당 100주년과 신중국 건국 100주년)'이라는 역사적 지점에서 중국은 사회주의 현대화 국가 전면 건설의 새로운 여정을 시작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는 길에서 힘차게 전진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이는 지난해 신년사 발표 5개월 전인 7월 1일, 시 주석이 중국공산당 창건 100주년을 성대하게 경축했다며 중국공산당 당원들은 수많은 국민들을 이끌고 백절불굴의 정신으로 온갖 어려움을 이겨내면서 백 년의 역사를 보유한 큰 정당의 위대한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미국의 한 외교 전문매체가 대한민국 인구 수의 0.0026%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에 대한 한국 국민들의 반감'을 다룬 여론조사 결과를 표집오차 등 명시도 없이 한국 응답자의 81퍼센트(%) 형태를 강조하며 보도하자, 부산지역 모 일간지가 이를 인용해 전날(27일) 받아쓰면서 28일 국내 언론사들이 잇따라 관련 뉴스를 재가공, 또는 그대로 받아쓰며 앞다퉈 게재하는 양상을 보여 이목이 쏠린다. 관련 기사는 지난 24일(현지시각) 미 외교 전문매체인 디플로맷의 보도(South Koreans Have the World’s Most Negative Views of China. Why? 한국인들은 세계에서 중국에 대해 가장 부정적 견해를 갖고 있다. 이유가 뭘까?)에 따른 것으로 올해 4월 11일부터 6월 23일 사이 한국 성인 남녀 1천364명을 대상으로 중국에 대한 인식 등을 묻는 여론조사 결과였다(원문:When asked about general views of China, 81 percent of South Korean respondents expressed negative or very negative sentiments. Tha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김정일의 수양아들을 감옥에 넣은 것은 중국인 권모술수의 전형적인 표현이다. 중한 수교 이후 깨진 중국과 북한의 미묘한 관계서 북한을 끌어 당겨야 최상의 효과가 있었던 것이다." ‘김정일의 양아들’이라 불리며 2002년 탈세 혐의로 돌연 중국에 체포된 북한 신의주 특별행정구 초대 행정장관이었던 중국인 양빈(楊斌). 양빈은 북한이 2002년 9월 신의주에 경제특구를 세운 한달여 만인 10월4일 북한 정부로 부터 장관 임명장을 받기위해 평양행 항공기를 타기 직전 체포돼 이듬해 7월, 18년이라는 실형을 받은 비운의 인물이다. 정인갑(75) 전 칭화대 교수는 최근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네덜란드 국적 화교 기업가였던 양빈의 사건 내막을 '중국-북한간 갈등' 속에 '미국-중국의 상호 결탁' 차원에서 10년만에 다시금 언급, "이 사건은 베일에 싸여 있으며 10년이 지난 지금도 많은 의문점이 풀리지 않고 있다"며 "필자는 관산(關山)이 쓴 양빈사건을 다룬 책을 번역해 '김정일과 양빈'이란 책명으로 한국에서 출판한 적이 있어 이 사건의 내막을 비교적 잘 알고 있다"고 밝혔다. 정 교수는 이같은 주장을 최근 출간한 책(중국의 문화와 중국인의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코로나19 시대의 세계 도시 종합경쟁력이 런던이 1위를 차지했고, 뉴욕과 도쿄, 파리, 싱가포르 순으로 평가됐다. 베를린을 제치고 7위를 차지한 서울은 한류 등의 문화적 교류 통해 계속 부상할 경쟁력 있는 도시로 전망됐다. 이는 도쿄의 대표적인 도시 개발 사업자인 모리빌딩(Mori Building)이 설립한 모리기념재단 산하의 도시전략연구소(The Mori Memorial Foundation’s Institute for Urban Strategies)가 ‘2022년 세계 도시 종합경쟁력 지수(Global Power City Index, GPCI) 보고서’를 통해 발표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주요 도시 48곳의 전반적 장점을 평가하며, 코로나19 시대의 도시별 대처 능력에 주목했다. 상위 5개 도시에는 런던과 뉴욕, 도쿄, 파리, 싱가포르 순이고, 올해 처음으로 상위 10위권에 진입한 멜버른(9위)과 문화적 교류를 크게 강화한 두바이(11위)가 이목을 끈다. 2022년 GPCI 순위는 3년간 각 도시의 코로나19 대응 조치에 큰 영향을 받았다. 우선, 접근성과 관련해 각 도시는 국제선 운항을 얼마나 빨리 재개했는지를 기준으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가 14일 만나 미래 신산업·미래세대 등 경기도-중국 간 경제 등 모든 분양에서 교류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 또, 김 지사는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아 싱하이밍 대사로부터 감사패를 받있다. 주한중국대사관이 수여하는 한중수교 30주년 기념 감사패를 받은 광역자치단체장은 김 지사가 처음이다. 김동연 지사는 14일 오전 경기도청을 방문한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와 만난 자리에서 “제가 부총리 때나 장관할 때나 중국과의 경제협력 관계에 특별히 신경을 썼고, 최근까지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며 “경기도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공급망의 허브로 앞으로도 보다 돈독한 관계를 맺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국과의 교역, 투자, 인적 교류, 관광, 스포츠 등 모든 면에서 중국과의 협력 강화에 한층 노력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경기도는 중국 8개 지역과 교류를 하고 있는데 새로운 경기도와 중국의 협력의 지평을 더 넓혔으면 좋겠다”며 “경기도는 대한민국에서 굉장히 특별한 위치에 있다. 모든 경제의 중심이고, 반도체, 바이오, 인공지능, 빅데이터, 모빌리티 등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대한민국 정부(재외동포청)에서 출범한 대표자 협의체인 GFGS(Global Future Generation Summit)가 지난 10월 31일() 서울에서 첫 번째 ‘2025 GFGS 비전포럼(Seoul Vision Forum)’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750만 재외동포 차세대(Global Koreans)와 모국의 차세대 리더들이 함께 글로벌 협력 모델을 논의하는 자리로, 오는 2026년 뉴욕, 런던, 뮌헨, 파리 등으로 이어질 국제 순회 포럼의 시작점이다. ‘GFGS 비전포럼’은 단순한 네트워킹을 넘어 해외동포 차세대와 한국 청년층이 함께 추진할 수 있는 구체적 프로젝트(POC, Proof of Concept)를 제안하고 실행력을 검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올해 서울 포럼에는 각국의 FLC(Future Leaders Conference) 출신 리더, 입양동포 및 장학생, 인턴 대표, 청년 창업가, 글로벌 기업가, 정부 및 민간기관 관계자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GFGS 조직 및 1기 운영구조 발표 △재외동포와 차세대 협력방안 △K-콘텐츠 산업(뷰티·푸드·에듀·컬처) 기반 수출협력 모델 논의 △축하공연 및 네트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경기도는 28일 국회의원회관 제2소회의실에서 ‘이주민 인권보장체제 구축 정책토론회’를 열고, 전국 최초로 제정된 ‘이주민 인권보장 3대 조례’의 실효성 강화와 당사자 참여 확대, 정부·지자체 간 협력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다. 자리에는 경기도와 토론회를 공동 주최한 더불어민주당 박해철·서미화 국회의원, 진보당 윤종오·손솔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대순 경기도 행정2부지사, 경기도의원, 국가인권위원회 관계자, 외국인 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이자스민 한국문화다양성기구 이사장이 좌장을 맡아 진행된 이날 토론회에서 설동훈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가 ‘한국 이민사회 변화와 인권보장체제 구축의 필요성’을 주제로 발제했다. 설 교수는 “한국은 이미 다문화·이민사회로 평가되지만 인권보장 체제는 초기 단계”라며 “경기도의 조례 제정은 인권 정책 모델로 훌륭하며, 전국 확산의 준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중앙정부·지방정부의 역할, 인권보장 제도의 지속가능성, 현장 중심의 정책 개선 방안 등이 논의됐다. 최서리 이민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앙정부의 체계적인 이민정책의 관리와 지방정부의 현장중심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오경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Medical Travel Korea)를 운영하는 레드테이블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외국인환자 유치등록기관의 글로벌 홍보 경쟁력 강화를 위한 ‘외국인환자 유치등록기관 다국어 정보등록(검색포털) 지원사업’ 참여기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외국인환자 유치등록 의료기관의 주요 정보를 글로벌 플랫폼에 영어·일본어 등 다국어로 등록하고, 유치등록기관임을 명시해 해외 환자의 접근성과 유입 경로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원 내용에는 △의료기관 정보의 다국어 번역(영어·일본어) △구글 플랫폼 내 정보 등록 및 현행화 지원 △외국인환자 대상 키워드·콘텐츠 등록 지원 △온라인 마케팅 교육 제공 등이 포함된다. 지원 대상은 현재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외국인환자 유치등록 의료기관이며, 신청은 10월 24일(금) 18시까지 담당자 이메일(moonoh@redtable.kr)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메디컬 트레블 코리아 도해용 대표는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각 의료기관의 온라인 노출이 확대되고, 글로벌 환자 대상 마케팅 역량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레드테이블(REDTABLE) 홍보영상 레드테이블은 외국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경기도는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심리적 부담을 완화하고 정서적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13일 파주시를 시작으로 10월까지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시범 운영한다고 16일 밝혔다. 그동안 외국인 계절근로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근로환경 상담, 한국어 교육, 한국문화 체험 등은 이뤄졌지만, 심리상담을 정식 프로그램으로 편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경기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선도적으로 추진해 근로자의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근무 환경을 뒷받침한다는 계획이다. 지원대상은 파주·안성·여주·연천 등 4개 시군에서 공공형으로 운영 중인 외국인 계절근로자 89명이다. 국가별로는 △라오스 45명(안성·파주) △캄보디아 22명(여주) △베트남 22명(연천) 중 희망자를 대상으로 한다. 심리상담은 근로자 휴무일을 활용해 집단 대면 상담 방식(회기당 2시간 이내, 5명 내외)으로 진행되며, 상담 전문가, 통역사, 경기도농촌인력지원센터 등이 공동형 숙소를 직접 찾아가 지원한다. 프로그램은 총 4주차 과정으로, 감정카드·도화지·핸드크림 등 소도구를 활용한 감정 탐색과 표현 연습을 통해 집단 속에서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아울러
뉴스노믹스 전상천 기자 | 기웅정보통신(대표·최병인)은 데이터 API 플랫폼 ‘데이터 허브’의 ‘간편수집 Web 서비스’가 출시 1년 만에 대부업계와 금융업계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고 5일 밝혔다. 게다가, 최근 외국인 수요 증가에 대응해 외국인 비대면 서류제출 기능까지 지원하며 서비스 활용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데이터 허브’의 ‘간편수집 Web 서비스’는 기업이 별도의 앱 설치 없이 고객으로부터 필요한 증빙 서류를 비대면으로 수집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업은 맞춤형 UI 커스터마이징과 자동화된 수집 과정을 제공받아 별도 IT 인프라가 없어도 필요한 정보를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더불어 지속적인 유지보수 관리를 위한 IT 인력과 그에 따른 비용 부담까지 크게 줄일 수 있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최근 확장한 외국인 관련 비대면 서류제출 기능은 △외국인등록증 진위 조회 △외국인 경력증명서 조회 △체류 만료일 조회 등 필수 공공 서류로 구성돼 국내 거주 외국인의 대출, 보험 가입, 계좌 개설 등 다양한 금융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부업체들은 기존에 제공하는 개인 대출 패키지 내 해당 기능을 추가해 외국인 대상 비대면 대출 서비스 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