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코로나19, 금융 투자 열픙 등으로 규모가 급증했던 마이너스 통장이 금리 인상기를 맞아 주춤하는 가운데,50대 중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은 여전히 마이너스 통장에서 자금을 끌어다 쓰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8일 더불어민주당 진선미 국회의원(서울 강동갑・기획재정위원회)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연령별 마이너스 통장 현황’자료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마이너스 통장 계좌 수는 300만 7천 좌, 잔액은 45조 199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50대의 마이너스 통장 계좌 수는 89만 좌였고, 60대 이상의 계좌 수는 54만 4천 좌였다.
50대의 마이너스 통장 잔액은 12조 1천860억 원이었고, 60대 잔액은 3조 2천482억 원을 기록해, 이는 2분기 대비 각각 0.05%, 0.7% 늘었다.
마이너스 통장은 지난 3년간 큰 증가세를 보이다가, 최근 금리 인상이 가파르게 이어지며 감소하는 모양새다.
작년 말 대비 올해 8월 말의 전체 마이너스 통장 계좌 수는 3.3%(311만 1천 좌→300만 7천 좌) 감소했고, 잔액은 8.4%(49조 1,585억 원→45조 199억 원) 감소했다.
특히 20대의 마이너스 통장 규모가 크게 줄어들었는데, 같은 기간 동안 계좌 수는 16.5%(12만 1천 좌→10만 1천 좌) 줄어들었고 잔액은 28.6%(2조 2,천27억 원→1조 6천9억 원)나 줄어들었다.
이에 반해, 50대와 60대의 감소폭는 훨씬 완만했다.
50대의 경우, 계좌 수는 1.1%(90만 좌→89만 좌) 줄었고, 잔액은 2.6%(12조 5천151억 원→12조 1천860억 원) 소폭 줄어들었다.
60대의 경우, 계좌 수는 1.7%(53만 5천 좌→54만 4천 좌) 늘었고, 잔액은 1.4%(3조 2천936억 원→3조 2천482억 원) 줄었다.
금리인상으로 인한 이자 부담이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고 등으로 인한 수요가 여전한 것으로 파악된다.
다른 연령층보다 중년층과 고령층에서 마이너스 통장 규모가 큰 것은 ‘마이너스 통장 신규 개설 건수’ 자료에서도 드러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