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0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사회


4년간 71억원 들어간 '긴급구조 측위 연동 표준' 기존 단말기 이용자 대다수, "혜택 못본다"

LGU+ 기존 가입자의 69%, KT 기존 가입자의 47%,
SKT 기존 가입자의 30%는 사용불가,
변재일 국회의원, "이마저도 구글 동의 없으면 탑재 조차 어려워"

뉴스노믹스 최대억 기자 |

 

긴급구조 위치정보 사각지대 단말기 해소를 위해 도입되는 '긴급구조 측위 연동 표준'이 기존 단말기를 사용하는 대다수의 가입자에겐 적용되지 않아 사각지대에 놓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결과적으로, 구글의 협조가 있어야만 기존 단말기에 이통3사의 측위모듈과 측위연동표준 모듈의 탑재가 가능하다는 분석도 동시 제기됐다. 

 

29일 변재일 의원(청주시청원구, 더불어민주당)에 따르면 과기정통부는 구조요청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고, 자급제폰·유심이동폰 등 긴급구조 위치정보의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4년간 총 71억원을 투입해 '긴급구조 측위 연동 표준' 및 '긴급구조용 측위 품질 제고를 위한 정밀측위 기술' 연구개발을 추진해왔으며, 올해 말 사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특히 방통위는 이통사별로 다르게 탑재해온 모듈이 긴급구조 측위시 상호 연동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긴급구조 측위 연동 표준'이 개발되면 사업자들과 협의해 기존 단말기에도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혀왔다.

 

그러나 올해 말 개발이 완료되더라 단말기에 모듈을 실제로 탑재해 최적화 등 테스트를 거치려면 최소 6개월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돼 신규 단말기 적용은 내년(2023년) 중순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문제는 기존 단말기에 새로운 표준 적용하는 것이 사실상 요원해졌다는 것이다.

 

방통위는 2020년 4월23일, 긴급구조기관(경찰청, 소방청), 연구기관(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통사(SKT, KT, LGU+), 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애플, 구글)와 함께 긴급구조 위치정보 품질 협의체를 발족,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16차례 회의를 개최했다. 

 

그러나 협의체는 긴급구조 측위 표준개발 이후 기존 단말기 적용여부는 지난 8월 12일 제13차 회의에서야 논의가 시작됐다.

 

방통위는 지난 13차 회의를 기점으로 기존 단말기에 '긴급구조 측위 연동 표준'을 탑재하는 경우 제조사의 OS 업데이트 주기를 고려, 최근 3년 이내에 출시된 단말기까지만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러나 방통위가 밝힌 것과 같이 3년 이내 출시 단말기에 OS를 업데이트해 표준모듈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사각지대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가입자를 기준으로 방통위가 밝힌 3년 이내 출시 단말기에만 표준모듈을 적용할 경우, △LGU+ 69%, △KT 47%, △SKT 30%의 가입자는 여전히 유심이동 시 긴급구조 위치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 9월 26일 제16차 회의에서는 이마저도 구글의 협조가 있어야만 기존 단말기에 이통3사의 측위모듈과 측위연동표준 모듈의 탑재가 가능하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이와 관련, 구글은 “기존에 선탑재되지 않은 모듈의 사후탑재 사례가 없었기 때문에 관련 법률적 검토가 이뤄져야 하고, 탑재시 통신서비스 장애발생 가능성 등 우려가 있어 기술적인 테스트가 함께 병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방통위에 전달한 것으로 드러났다.

 

변재일 의원은 “방통위가 긴급구조 위치정보 서비스의 대상을 더욱 확대하고 국민의 안전을 보장하고자 표준모듈을 개발했지만 이는 표준이 탑재된 신규단말기 구매자에게만 적용되는 반쪽짜리 정책이다”라며 “국민의 안전을 위해 늦었지만 기존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유심이동 등으로 긴급구조위치정보 서비스를 받지못하는 사각지대를 최대한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wifi측위연동표준모듈 탑재 가능한 3년이내 출시 단말기 현황(9월28일 기준)

순번

제품명

모델명

제조사

출시일

1

갤럭시 Z Flip

SM-F700N

삼성전자

2020.02

2

갤럭시 S20 5G

SM-G981N

삼성전자

2020.03

3

갤럭시 S20+ 5G

SM-G986N

삼성전자

2020.03

4

갤럭시 S20 Ultra 5G

SM-G988N

삼성전자

2020.03

5

갤럭시 A51 5G

SM-A516N

삼성전자

2020.04

6

갤럭시 A31

SM-A315N

삼성전자

2020.04

7

갤럭시 퀀텀

SM-A716S

삼성전자

2020.05

8

갤럭시 A21s

SM-A217N

삼성전자

2020.07

9

갤럭시 Z Flip 5G

SM-F707N

삼성전자

2020.08

10

갤럭시 Note20 5G

SM-N981N

삼성전자

2020.08

11

갤럭시 Note20 Ultra 5G

SM-N986N

삼성전자

2020.08

12

갤럭시 Z Fold2 5G

SM-F916N

삼성전자

2020.09

13

갤럭시 S20 FE 5G

SM-G781N

삼성전자

2020.09

14

갤럭시 S21 5G

SM-G991N

삼성전자

2021.02

15

갤럭시 S21+ 5G

SM-G996N

삼성전자

2021.02

16

갤럭시 S21 Ultra 5G

SM-G998N

삼성전자

2021.02

17

갤럭시 A12

SM-A125N

삼성전자

2021.02

18

갤럭시 A32

SM-A325N

삼성전자

2021.03

19

갤럭시 A42 5G

SM-A426N

삼성전자

2021.03

20

갤럭시 퀀텀2

SM-A826S

삼성전자

2021.04

21

갤럭시 점프

SM-A326K

삼성전자

2021.05

22

갤럭시 Z Flip3 5G

SM-F711N

삼성전자

2021.08

23

갤럭시 Z Fold3 5G

SM-F926N

삼성전자

2021.08

24

갤럭시 와이드5

SM-E426S

삼성전자

2021.08

25

갤럭시 버디

SM-A226L

삼성전자

2021.08

26

갤럭시 A52s 5G

SM-A528N

삼성전자

2021.08

27

갤럭시 엑스커버5

SM-G525N

삼성전자

2021.10

28

갤럭시 S22

SM-S901N

삼성전자

2022.02

29

갤럭시 S22+

SM-S906N

삼성전자

2022.02

30

갤럭시S22 Ultra

SM-S908N

삼성전자

2022.02

31

갤럭시 A53

SM-A536N

삼성전자

2022.03

32

갤럭시 A23

SM-A235N

삼성전자

2022.03

33

갤럭시 S20 FE

SM-G781N2022

삼성전자

2022.04

34

갤럭시 버디2

SM-M236L

삼성전자

2022.06

35

갤럭시 JUMP2

SM-M336K

삼성전자

2022.04

36

갤럭시 A33

SM-A336N

삼성전자

2022.07

37

갤럭시 A13

SM-A135N

삼성전자

2022.07

38

갤럭시 Z-Flip4

SM-F721N

삼성전자

2022.08

39

갤럭시 Z-Flip4 메종키츠네

SM-F721N-MK

삼성전자

2022.08

40

갤럭시 Z-Fold 4

SM-F936N

삼성전자

2022.08

출처=방통위 제출

 

프로필 사진

강판밸리

더보기


Migration News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