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노믹스 정의철 기자 |
한국과 유엔사령부 회원국 국방장관 및 대표가 14일 '한국-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 회의'가 처음으로 열렸다.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아 서울 용산구 대회의실에서 열린 한-유엔사 국방장관 회의에서는 유엔사의 역할과 기여를 평가하고 한반도 유사시 회원국 공동대응 선언이 채택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신원식 국방부 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미국 국방장관을 비롯해 17개 유엔사 회원국 대표가 참석한다. 신 장관의 환영사와 오스틴 장관의 기조연설로 시작했다.

북한은 이번 회의로 유엔사 재활성화 논의가 진전될 수 있다는 관측 나오자 회의 자체를 침략전쟁을 준비하는 것이라 비난하며 유엔사 해체를 주장하고 있다.
한국군은 최근 유엔사 재활성화 논의 속에서 유엔사 참모부에 참여하기로 방침을 세웠다. 다만 구체적인 규모는 확정하지 않고 적정 인원과 직책 등을 검토하고 있다.
국방부는 "한-유엔사 회원국 국방장관과 대표들이 함께 모여 한반도 전쟁 억제와 평화 유지를 위한 유엔사의 역할과 한-유엔사 회원국 간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최초의 회의"라고 평가했다.
유엔사는 1950년 6월 25일 북한의 남침 이후 유엔 결의로 결성됐고,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 체결 이후로도 정전협정 관리와 유사시 한미연합군사령부 전력 지원 임무를 맡고 있다. 미군 4성 장군인 주한미군사령관 겸 한미연합군사령관이 유엔군사령관을 겸직하고 있다.




